상단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하단메뉴 바로가기
열기

신뢰와 책임, 소통하는 김해시의회

의회 아이콘
회의록 의안 의안개요

회의록

의안개요

의안

의회의 의결을 요하는 안건으로 의원이나 지방자치단체장이 일정한 형식을 구비하여 제출하는 것을 “의안”이라 한다.

의안 종류

  • 조례안
    조례는 지방자치단체가 법령의 범위 안에서 그 권한에 속하는 사무에 관하여 지방의회에서 정하는 하나의 규범
  • 예산안
    집행부가 일정한 기간. 즉, 한 회계연도에 있어서의 지방자치단체 활동에 수반되는 수입과 지출의 예정적 계획인 예산을 편성하여 지방의회 심의‧확정을 받기 위하여 제출하는 의안
  • 결 산
    예산에 대응하는 개념으로서 한 회계연도에 있어서 지방자치단체의 수입과 지출의 실적을 확정적 계수로 표시한 것으로서, 지방자치단체가 예산을 지출한 뒤 그 내용에 대하여 사후에 지방의 회의 승인을 받기 위해 제출하는 의안
  • 동의안
    지방자치단체가 행정업무를 집행하기 전 사전에 관련 법령에 따라 지방의회의 동의를 얻어 시행하기 위하여 지방자치단체에서 제출하는 의안
  • 승인안
    지방자치단체가 이미 처리한 업무에 대하여 지방자치법과 조례 등의 규정에 의하여 사후에 승인을 받기 위해 제출하는 의안
  • 결의안
    의원이 지방의회의 의사를 결집하여 외부에 표명하거나 지방의회 운영에 관한 사항을 결정할 목적으로 제출하는 의안
  • 건의안
    의원이 정부·자치단체의장, 기타 그 외의 기관의 권한에 속하는 사항에 대하여 건의할 목적으로 제출하는 의안
  • 규칙안
    단체장이 법령 및 조례에서 위임한 범위안에서 그 권한에 속하는 사무에 관하여 제정한 규범과 지방의회 운영과 관련하여 법령 및 조례 등에서 규칙으로 정하도록 위임한 사항을 정하기 위한 의안

의안 심의절차

  • 의안의 제출 또는 제안 발의
    • 지방자치단체의 장(시장)제출
    • 위원회 제안
    • 재적의원 1/5이상 또는 의원 10인이상 연서로 발의
  • 접 수
    • 요건 확인
    • - 의안의 형식 요건
    • - 찬성자의 서명부 등
  • 의안번호 부여

    의안의 종류에 관계 없이 접수 순서에 의거 연번을 부여함

  • 의장에게 보고
    • 소관 상임위원회 결정
    • - 조례에 규정된 상임위원회별 소관에 의해 결정
  • 의안의 유인
    • 의원 발의시 : 의사담당
    • 위원회 제안시 : 제안한 위원회
    • 지방자치단체의 장 제출시 : 제출 주관부서
  • 의안의 배부 및 본회의 보고
    • 제출된 의안은 모든 의원에게 1부씩 배부
    • 본회의 개의중에는 지체없이 보고하고 휴, 폐회중인 경우에는 먼저 위원회에 회부하고 본회의가 개의되는 첫날에 보고
  • 상임위원회 회부

    소관위원회에 회부

  • 상임위원회 심사
    • 위원회 보고
    • 의사일정 상정
    • 제안설명
    • 검토보고
    • 질의답변
    • 찬반토론
    • 축조심사
    • 지방자치단체의 의견청취
    • 의결(표결)
  • 위원회 심사결과 보고

    위원회 심사결과를 의장에게 공문으로 보고

  • 본회의 심의
    • 의사일정 상정
    • 위원회 심사결과 보고(소관위원회 위원장 또는 소속위원)
    • 질의
    • 토론
    • 의결(표결)
  • 지방자치단체의 장에게 이송 (조례안의 경우)
    • 예산안 : 3일 이내
    • 조례안 : 5일 이내
    • 기타 의안은 가급적 빠른 시일내에 이송
  • 지방자치단체의 장 공포
    • 이송된 후 20일 이내에 지방자치단체장 공포
    • 20일 이내에 공포치 않은 경우 의장이 공포
    재의요구

    지방자치 단체의 장은 조례안에 대하여 이의가 있을 때에는 이송받은 후 20일 이내에 이유를 붙여 재의요구

    접 수

    본회의 처리
    • 의사일정 상정(부득이한 사유가 없는 한 휴, 폐회 기간을 제외하고 10일 이내)
    • 지방자치단체측 거부 이유 청취
    • 질의
    • 토론
    • 의결(표결)

    지방자치단체의
    장에게 이송

  • 공포통지서 접수(의회)

  • 지방자치단체의 장 공포
    • 이송된 후 20일 이내에 지방자치단체장 공포
    • 20일 이내에 공포치 않은 경우 의장이 공포
    대법원에 제소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재의결된 사항이 법령에 위반된다고 판단되는 때는 재의결된 날부터 20일 이내에 대법원에 제소